

오늘은 오일게이지를 뜯었다.

내부는 이런식으로 생겼다.

윤활유가 들어가서 저 관을 부르동관에 들어오는 압에 따라 관이 움직이며
원래 같이 걸려있던 링크 및 기어를 통해 압력을 표시해주는거다.
이 부르동관 굵기에 따라 압력 범위가 결정되는 것이고,
보통 윤활유? 밖으로 유출다면, 저 동관에 구멍이 생겨서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니
교체하자.

스프링과 기어가 같이 연결되어 압력계를 움직인다.
진동이나 충격을 보호 해주거나, 압력계가 넘어가는 걸 방지해준다.

명칭은 간단하게 이정도 ?
공압은 보통 압력계 내부에 기름이 차 있지 않지만,
이런식으로 유압압력계에 기름을 넣는 이유는
1. 진동이나 순간적인 펄스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2. 내부 액체로 마찰력이 작아진다.
3. 수분에 의한 녹을 방지한다.
4. 수분이 얼어 바늘이 동작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5. 유리창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보통 이런식으로 정의하지만,
가장 큰 것은 움직일 때 마찰을 적게 받고 부르동관의 피로도를 적게 해주는 것
유압같은경우에는 솔밸브나 이런게 작동할 때 압력변화가 크기 때문에
충격에 좀 더 약한편이라 줄이기 위해 액충만 압력계를 자주 쓴다!
'정의하지못함 > 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실린더 분해 SMC CA2F50-600Z 및 카탈로그 메뉴얼 확인 (0) | 2023.06.03 |
---|---|
NACHI spindle 아답타 조립 (공작기계) (0) | 2023.02.08 |
미우라 관류 보일러 수면계 패킹 교체 (0) | 2023.02.03 |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응용한 감속기 (1) | 2023.02.03 |
그리드 커플링 (1050H) (0) | 2023.02.03 |